울산 암각화 반구대 대곡리 암각화는 거대한 절벽의 하단 바위면(높이 3m, 너비 10m)에 육지 동물과 바닷물고기와 사람들이 이들을 사냥하는 사냥장면 등 200여 점이 여러 겹으로 겹치고 빽빽하게 새겨져 있다. 육지 동물은 사슴, 호랑이, 멧돼지 등이고 바닷물고기는 고래, 상어 등이며, 사냥 장면은 사.. 여행이야기/문화재답사 2015.04.16
은해사 대한불교조계종 제10교구 본사이다. 809년(헌덕왕 1)에 혜철국사(惠哲國師)가 해안평(海眼坪)에 창건한 사찰로, 처음에는 해안사(海眼寺)라고 하였다. 그 뒤 1270년(원종 11)에 홍진국사(弘眞國師)가 중창하였고, 1275년(충렬왕 1)에는 원참(元旵)이 중건하였으며, 1485년(성종 16)에는 죽청(竹.. 여행이야기/문화재답사 2015.03.22
용문사 윤장대 보물 제684호. 높이 420cm, 둘레 315cm. 경전을 보관하는 일종의 경장(經藏)으로 대웅전 왼쪽 대장전 안에 불단을 중심으로 좌우에 각각 1구씩 설치되어 있다. 전륜장(轉輪藏)이라 고도 부르는 윤장대(輪藏臺)는 내부에 불경을 넣고, 손잡이를 잡고 돌리면서 정토왕생(淨土往生)을 기원하던 의.. 여행이야기/문화재답사 2015.03.07
박제상유적지 4세기말 내물왕(재위기간 : 356~402)은 석씨계열 왕조를 대신하여 경주 김씨 계열의 왕조로 교체하였지만, 백제와 가야 왜국으로 구성된 3국 연합군의 공격을 받아 국가가 존망의 위기에 처하였다. 내물왕은 이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서기400년 고구려 광개토대왕으로부터 군사원조를 받았.. 여행이야기/문화재답사 2014.08.24
의성 고운사 탐방 신라신문왕원년인 681년에 신라의 승려인 의상이 창건한 것으로 전해진다. 창건 당시의 이름은 고운사(高雲寺) 였으나, 최치원이 머물며 가운루와 우화루를 건축한 이래 최치원의 호인 고운(孤雲)을 따라 절의 이름을 개칭했다. 신라 말기의 승려로 고려태조의 스승이었던 도선이 크게 중.. 여행이야기/문화재답사 2014.05.22
경주남산 대구일보 (2014. 5. 9일자) 경산북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된 남간사지 석정(돌우물). 서남산 입구 탑정동에 있다. 경주를 찾는 관광객들의 발걸음이 한때 뜸해졌다는 보고들이 고도 경주를 아끼는 사람들의 마음을 안타깝게 했다. 경주시는 관광객 2천만명 시대를 외치며 관광객 유치에 온갖 .. 여행이야기/문화재답사 2014.05.09
영주 부석사 신라의 불교는 눌지왕 때에 들어와 법흥왕 때에 수용된 뒤에 크게 발전하였다. 중국을 통하여 전입된 교학 불교는 신라 불교로 하여금 종파성을 띠게 하였는데 가장 특징적으로 운위되는 종파는 화엄종과 법상종이다. 그 가운데에서도 전법 사실이 뚜렷하고 종찰이 확실한 것은 의상의 .. 여행이야기/문화재답사 2013.12.02
운곡서원 가을풍경 조선 선조 35년(1602)에 충주목사 정구(鄭逑)가 이미 있던 백운서당에 주자를 모시고 백운서원이라 하였는데,현종 2년(1661)에 정구를 배향하고 운곡서원이라 하였다. 숙종 2년(1676) 나라에서 현판을 받아 사액서원이 되었고 고종 8년(1871)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 때 철거되었다. 고종 31년(.. 여행이야기/문화재답사 2013.11.18
동천 소금강산 경주의 북쪽 경주 벌판에 야트막하게 솟은 산이 소금강산(178m)이다. 경주의 남쪽에는 남산이 장엄하게 펼쳐져 있고, 서쪽에는 선도산과 송화산이 솟아 있으며, 동쪽에는 명활산과 토함산이 있다. 신라의 북쪽을 지킨다 하여 ‘북악’이라고도 불렸다. 사로국의 여섯 마을 중 양산촌의 촌.. 여행이야기/문화재답사 2013.1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