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만큼 예쁜 절집 의성 고운사 의성 고운사는대한불교조계종 제16교구 본사입니다.681년(신문왕 1)에 의상이 창건하여 고운사라 하였습니다. 그 후 최치원이 승려 여지, 여사와 함께 가운루와 우화루를 건립하고 이를 기념하여 최치원의 자를 따서 고운사로 이름을 바꾸었습니다. 헌강왕 때는 도선이 약사여래석불과 석탑을 안치하였고, 948년 운주가 중창하였습니다 https://youtu.be/CzM8A4JcxbA?si=bfx29LxuVtwmGXaw 여행이야기/문화재답사 2024.09.08
봉황이 품은 길지에 세운 영천 죽림사 영천 금호읍 봉죽리 유봉산에 있는 죽림사는 조계종 10교구 은해사의 말사입니다신라 857년 (헌안왕 원년) 도선 국사가 창건한 천년 고찰입니다.그러나 창건 이후의 역사는 알려진 것이 없고 조선시대 임진왜란 때 전소되었다가 중건하였습니다.그 뒤 1802년(순조 2) 사세가 쇠잔하여 당우가 퇴락되면서 거의 폐사되다시피 하였다가, 1815년 이 지방 출신 임취봉, 이상공, 이한억 등에 의해 중건되었습니다.https://youtu.be/Txyh0IbThXk?si=FH-ghVKuNdS4QCSx 여행이야기 2024.08.18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된 안동 봉정사 대한불교조계종 제16교구 본사인 고운사(孤雲寺)의 말사입니다. 2018년 6월에 “산사, 한국의 산지 승원(Sansa, Buddhist Mountain Monasteries in Korea)”이라는 명칭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습니다.2000년 2월 대웅전 지붕 보수공사 때 발견된 묵서명을 통해 조선시대 초에 팔만대장경을 보유하였고, 500여 결(結)의 논밭을 지녔으며, 당우도 전체 75칸이나 되었던 대찰임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영국의 여왕 엘리자베스 2세가 한국을 방문하면서 1999년 4월 21일에 봉정사를 방문하기도 하였습니다.https://youtu.be/EIpS1PVvYG4?si=k9v07IcRgI57yGNt 여행이야기/문화재답사 2024.07.08
용문사 윤장대 보물 제684호. 높이 420cm, 둘레 315cm. 경전을 보관하는 일종의 경장(經藏)으로 대웅전 왼쪽 대장전 안에 불단을 중심으로 좌우에 각각 1구씩 설치되어 있다. 전륜장(轉輪藏)이라 고도 부르는 윤장대(輪藏臺)는 내부에 불경을 넣고, 손잡이를 잡고 돌리면서 정토왕생(淨土往生)을 기원하던 의.. 여행이야기/문화재답사 2015.03.07